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3

덤프버전 : r (♥ 0)


}}} ||
[ 펼치기 · 접기 ]


역대 PUBG Korea League 일람
Gen.G파일:OGN_Entus_Forcelogo_square.png
OGN ENTUS FORCE
대회 폐지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2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3

파일:HOT6 PKL.jpg
파일:PKL_White.png {{{#white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3}}}
대회 기간2019년 8월 26일 ~ 10월 12일
주최파일:pubg corp krafton.png
주관파일:SBS AfreecaTV 로고.svg
미라마, 에란겔 클래식[1], 사녹[2]
모드스쿼드 1인칭
리그 규정원문 출처
경기장올림픽공원 K-아트홀
스폰서파일:HOT6 logo.jpg파일:BenQ ZOWIE logo.jpg
중 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TV
파일:SBS AfreecaTV 로고.svg [1]
온라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중계진캐스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상현, 채민준
해설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동준, 김지수, 신정민
인터뷰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현경
[1] 딜라이브 154번, 올레TV 라이브 265번, B tv 141번.
일 정
[ 펼치기 · 접기 ]
조지명식8월 19일
정규시즌8월 26일 ~ 10월 12일
상 금
[ 펼치기 · 접기 ]
총 상금200,000,000 원
팀 상금우승60,000,000원
준우승35,000,000원
3위20,000,000원
4위20,000,000원
5위-10위10,000,000원
개인 상금MVP5,000,000원
결 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 파일:OGN_Entus_Forcelogo_square.png OGN ENTUS FORCE
준우승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MVP설도훈 (ENF indigo)

1. 개요
2. 참가 팀
3. 대회 방식
3.1. 팀장 방송
3.2. 대회 규정
3.2.1. 맵
4. 조지명식
5. 대회 진행
6. 대회 결과
7. 기타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THE LAST PHASE, THE LAST CHANCE


PUBG 주식회사에서 발표한 e-sports 운영 계획에 따라 진행되는 2019 시즌 페이즈 3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최상위 배틀그라운드 프로 리그이다.

리그는 8월 26일부터 6주간 매주 월,수,토요일 오후 6시에 진행한다.

또한 Phase 2랑은 다르게 사녹맵이 추가되어서 진행한다. 페이즈 4에서 육지로 빠지는 자기장이 셋팅된 기존 맵과는 달리 사녹은 맵 자체가 작다보니 페이즈 3에 물을 제외한 자기장이 걸린다.


2. 참가 팀[편집]



}}} ||


참가 팀에 대한 로스터는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3/로스터 문서 참조.


3. 대회 방식[편집]



3.1. 팀장 방송[편집]




3.2. 대회 규정[편집]


파일:PKL_White.png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3 대회 규정
[1] 비주얼 업데이트는 적용되지 않음출처[2] 페이즈 3 신규추가
[ 블루존 이동 속도 ]
페이즈지연(s)대기(s)이동(s)초당 피해량축소확산육지 비율
1901802700.60.40.50
2901200.80.550.560
36012010.60.560
46015030.60.561
55012050.650.560
65012080.650.560
75090100.650.560
85060140.70.561
910160180.001100

[ 에란겔 아이템 드랍률 ]
탄약
탄약1
석궁용 볼트0
플레어0
무기
저격소총(SR)1.5
지정사수소총(DMR)2
돌격소총(AR)1.4
엽총(HR)0
경기관총(LMG)0.4
기관단총(SMG)1.8
산탄총(SG)0.9
권총0.4
투척 무기1.3
섬광탄1.2
수류탄0.7
화염병1.1
연막탄1
근접 무기1.7
석궁0
플레어 건0
총기 부착물
조준기 부착물1
탄창 부착물0.5
총구 부착물0.7
하단 레일1.2
개머리판 부착물1.5
석궁용 화살통0
소모품
치료 아이템1
부스트 아이템0.9
연료통0.3
장비
배낭0.6
헬멧0.8
방탄조끼0.8
0
조정 가능한 비율 & 조정 가능한 전체 수 : 1.8

[ 미라마 아이템 드랍률 ]
탄약
탄약1.1
석궁용 볼트0
플레어0
무기
저격소총(SR)3
지정사수소총(DMR)3
돌격소총(AR)1.6
엽총(HR)0.8
경기관총(LMG)0.8
기관단총(SMG)1.7
산탄총(SG)0.9
권총0.3
투척 무기1
섬광탄1.2
수류탄0.5
화염병1.2
연막탄1
근접 무기1.7
석궁0
플레어 건0
총기 부착물
조준기 부착물1.1
탄창 부착물1.1
총구 부착물0.6
하단 레일1.2
개머리판 부착물1
석궁용 화살통0
소모품
치료 아이템1
부스트 아이템1
연료통0.3
장비
배낭0.8
헬멧0.9
방탄조끼0.8
0
조정 가능한 비율 & 조정 가능한 전체 수 : 1.8

[ 사녹 아이템 드랍률 ]
탄약
탄약1
석궁용 볼트0
플레어0
무기
저격소총(SR)3
지정사수소총(DMR)2
돌격소총(AR)1.5
석궁0
플레어 건0
총기 부착물
개머리판 부착물1
석궁용 화살통0
소모품
연료통0
0
조정 가능한 비율 & 조정 가능한 전체 수 : 1


파일:PKL_White.png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3 포인트
1위2위3위4위5위6위7-8위9-16위1킬
1065432101

노란색 점이 차량 고정 스폰, 빨간색 점이 보트 고정 스폰 위치이다.


3.2.1. 맵[편집]


1,3,5주
라운드인칭
라운드1에란겔FPP
라운드2사녹FPP
라운드3미라마FPP
라운드4미라마FPP

2,4,6주차
라운드인칭
라운드1미라마FPP
라운드2사녹FPP
라운드3에란겔FPP
라운드4에란겔FPP



4. 조지명식[편집]


지난 페이즈와는 다르게 조 추첨방식으로 바뀌었다.
1. 비 시드팀 조추첨
PKL 페이즈2 4위 부터 PKC 페이즈2 4위 팀 순서대로 공을 뽑아 조를 편성한다.
2. 시드팀 권한 사용
3위(디토네이터):자신의 조인 C조에서 한팀을 정해 추첨으로 정해진 팀과 교환한다.
2위(DPG 다나와):자신의 조인 B조에서 한팀을 정해 원하는 팀과 교환한다.
1위(Gen G):자신의 조인 A조에서 두팀을 정해 원하는 두팀과 교환한다.
3. 골든볼 권한 사용
조 추첨중 한개밖에 없는 골든 볼을 뽑은 팀은 원하는 두팀의 조를 교환할수 있다.(자신 이동 가능 시드팀은 교환불가)


5. 대회 진행[편집]




가장 큰 이슈였던 사녹이 등장하면서 초반부터 화끈한 전투가 펼쳐지는 양상을 많은 사람들이 기대했고, PUBG에서도 이를 노리고 도입했다는 평이 지배적이지만, 초반 부트캠프 멸망전을 제외하면 대다수 팀들이 인원 보존을 통해 가능한 자기장 중심 쪽으로 진입을 최우선 목표로 두기 때문에 중반 이후 활동 반경이 겹치는 시점에 동시다발적인 전투가 벌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기존 PKL 팬들은 사녹이 템포가 빠르고 교전 위주 플레이를 펼치기 때문에 좋은 반응을 보내는 한편, 일부에서는 너무 정신 없거나, 자기장 운이 너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옵저버가 죽을 맛이라는 부정적인 의견도 존재하고 있다. 당장 극후반 들어서 자기장에 몇명씩 타죽는 킬로그가 뜨는 것이 일상다반사라 자기장이 킬 1위냐는 비아냥이 사녹 경기때마다 등장했다. 그리고 프로들과 일선 구단의 강력한 항의가 원인이었는지 사녹은 2020년도 리그부터는 대회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다.


6. 대회 결과[편집]


파일:PKL_White.png {{{#white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3}}}
대회 결과
순위팀명총점비고
1파일:OGN ENTUS 로고.svgENF224390[3]
2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T1245358
3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AFF211336
4파일:483px-Griffin_Black.pngGB206322
5파일:Team Square logo.pngMSQ226312
6파일:Gen.G 로고 심플.svgGEN193312
7파일:DPG danawa std.pngDD194306
8파일:VSG.pngVSG189305
9파일:DeToNator logo.pngDTN197302
10파일:Quadro_logo.pngQDR179293
11파일:OGN ENTUS 로고.svgENA184281
12파일:WC.pngWC155257
13파일:apkp.pngAPK173252
14파일:LAVEGA only.pngLVG165248
15파일:EMlogo.pngEM151245
16파일:DPG_EVGA_std.pngDE172244
17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AFA155243
18파일:Michael logo.pngMCL150229
19파일:DAMWON.pngDWG156228
20파일:OP.GG SPORTS.pngOPG138224
21파일:GEEKSTAR.Eclipse.pngGSP149212
22파일:STADOM.pngSTA105201
23파일:MVP_logo.pngMVP117189
24파일:Griffin_Red_logo.pngGR123167
PGC 진출PKL 잔류PKC 강등


7. 기타[편집]




8. 관련 문서[편집]


[3] PKL 포인트 4위권 내에 페이즈3 우승팀인 포스가 들어갔으므로 차순위 원칙에 따라 T1이 PGC에 진출하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0:44:23에 나무위키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